日休亭先生文集...이영세(李榮世) 1618년(광해군 10)∼1698년(숙종 24)
페이지 정보

본문
日休亭先生文集
卷一
賦 嚮晦入宴息賦
詩 讀易 65편
疏 請移邑疏 / 因灾異求言言事疏
卷二
書 答李判書 16편
序 送沈觀察文叔序 / 送法琴上人序
記 反求亭記 / 日休亭記
跋 題權花山君倡義錄後
銘 明倫堂屏銘 / 安侯恤軍碑銘
祝文 泗陽書院移建奉安文 3편
上樑文 白雲齋上樑文 / 舊宅重修上樑文
祭文 祭浣石亭李先生文 19편
卷三
策 成均館應製--王若曰委靡不振國家之大病自古亂兦未嘗不由於斯云云 2편
雜著 孫兒百春冠戒 / 良知良能貴乎學說
墓誌銘 處士崔君墓誌銘 / 贈右尹李公墓誌銘
墓表 贈叅議李公墓表
行狀 成均館典籍蘆谷郭公行狀 3편
卷四 附錄
知舊贐章/李???? 5편
閒居詩次韻/李惟樟 29편
挽詞/李簠 27편
祭文/李聃命 5편
行狀/李晚煃
墓碣銘/金㙆謹
墓誌銘/李相奭
跋/張錫英 識/李玄基
이영세(李榮世) 1618년(광해군 10)∼1698년(숙종 24).
21세 졸암(拙庵) 창국(昌國)의 증손(曾孫)이다.
자(字) 영백(榮伯) 호(號) 일휴정(日休亭) 광해군(光海君) 10년 무오(戊午 1618)생이며 어릴때부터 총명(聰明)하였고 완석정(浣石亭) 이언영(李彦英)의 문인(門人)이다. 효종(孝宗) 2년 신묘(辛卯 1651)에서 식년(式年) 생원(生員)1등에 합격(合格)하였으며 숙종(肅宗) 5년 기미(己未 1679)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사직서(社稷署) 참봉(參奉)이 되었다. 팔순림(八旬林) 하(下)에 정사(精舍)를 지어 강의와 토론을 삼으며 유유자적(悠悠自適)하였다. 호(號)를 월곡(月谷) 또는 월곡거사(月谷居士)라 칭(稱)하며 사우(士友)는 도신징(都愼徵), 송시강(宋時綱), 이창진(李昌鎭), 이두정(李斗晶), 정기윤(鄭岐胤), 안중현(安重鉉)등이고 숙종(肅宗) 24년 무인(戊寅 1698)에 졸(卒)했고 저서(著書) 문집(文集)이 간행(刊行)되었다.
이영세(李榮世)
1618년(광해군 10)∼1698년(숙종 24). 조선 중기 유학자. 자는 영백(榮伯)이고, 호는 일휴정(日休亭)이다. 본관은 벽진(碧珍)이다.
시조는 고려 태조(太祖) 때의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李悤言)이다. 증조부는 졸암(拙庵) 이창국(李昌國), 조부는 공조참의(工曹參議) 이탁이(李卓爾)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모암(慕巖) 이충민(李忠民)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9세 때 숙사(塾師)가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의 부친에게 말하길 스승이란 지극히 중요한 것이라며 여졸공(厲卒公)을 천거하였다. 14세에는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을 찾아가서 〈춘추부(春秋賦)〉와 〈옥산부(玉山賦)〉를 지어 큰 칭찬을 받았다. 15세에는 완정(浣亭) 이언영(李彦英: 1568∼1639)과 동숙하면서 공부에 전념하니 학문이 크게 정진하였다. 1651년(효종 2)에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679년(숙종 5) 사직서참봉(社稷署參奉)으로 천거되었으나 이듬해에 고향으로 돌아와 제자들을 가르치다 생을 마감하였다.
문집으로 《일휴정문집(日休亭文集)》이 전한다.
- 이전글畏齋集..이후경(李厚慶, 1558~1630) 25.04.09
- 다음글일하정기一何亭記 25.04.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