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진이씨 세계 고증
HOME > 벽진이씨 세계 고증
벽진이씨 세계 고증(碧珍李氏世系考證)
● 성주(星州)의 이씨(李氏)가 셋이 있으나 벽진장군(碧珍將軍)에서 나온 이씨(李氏)가 가장 오래이다.
● 빙옥재(氷玉齋) 이극송(李克松)은 명경시(明經試)에 장원(壯元)하였으므로 명경이씨(明經李氏)라 칭(稱)하였는데 구보(舊譜)에는 입보(入譜)되지 아니하였다. 갑자수보시(甲子修譜時)에 그 파보(派譜)를 상고(詳考)하여 본 즉 시조공(始祖公) 5세손(五世孫) 휘 보(諱寶)는 곧 극송(克松)의 고조(高祖)이며 세계(世系)가 명백(明白)하므로 비로소 동보(同譜)하기로 하였다.
● 통정대부(通政大夫)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 이희조(李希祖)는 그 후손(後孫)의 가승(家乘)을 살펴보니 휘 희경(諱希慶)의 아우가 되는데 가화(家禍)를 만나던 날에 화(禍)가 그 몸에 미칠 것을 두려워하여 본관(本貫)을 바꾸어서 고양(高陽)에 은거(隱居)하였는데 자손(子孫)이 한미(寒微)하여 구보(舊譜)에 입보(入譜)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선계(先系)가 명확(明確)하므로 신축수보시(辛丑修譜時)에 비로소 동보(同譜)하기로 하였다.
● 문하시랑(門下侍郞) 이당개(李唐蓋)는 금릉백(金陵伯)이 되었으므로 금릉이씨(金陵李氏)라 칭(稱)하였다. 그 파보(派譜)를 살펴본 즉 휘 당규(諱唐揆)의 아우가 되나 자손(子孫)들의 사는 곳이 너무 멀어서 구보(舊譜)에 입보(入譜)되지 못하였으나 선계(先系)가 명확(明確)하므로 신축수보시(辛丑修譜時)에 비로소 동보(同譜)하기로 하였다.
● 여은정(麗隱亭) 휘 사지(諱思之)의 증손(曾孫)인 성산군(星山君) 식(軾)의 아들 예문(禮門)은 조요(早夭)하고 사자(嗣子)가 없었으므로 옛 경인수보(庚寅修譜)때부터 그 동생 윤(輪)의 아들 덕창(德昌)이 양자(養子)로 들어가서 종통(宗統)을 이어 지금(只今)까지 봉사(奉祀)하고 있다. 근래(近來)에 살펴보니 사과(司果) 만성(晩性)과 좌윤(左尹) 사흥(嗣興)은 본디 덕문(德門)의 후손(後孫)이었는데 세월(歲月)이 오래이고 우거(寓居)한 곳이 너무나 멀어서 아직 구보(舊譜)에 입보(入譜)되지 아니하였다. 신축년(辛丑年)에 이르러 비로소 수보(修譜)하게 되는 날에 선계(先系)를 상고(詳考)하지 아니하고 가벼이 예문(禮門)의 후(后)로 입록(入錄)하였으므로 이번 병자보(丙子譜)에 정정(訂正)하여 고쳐 쓴다.
벽진이씨 세계 고증(碧珍李氏世系考證)
● 성주(星州)의 이씨(李氏)가 셋이 있으나 벽진장군(碧珍將軍)에서 나온 이씨(李氏)가 가장 오래이다.
● 빙옥재(氷玉齋) 이극송(李克松)은 명경시(明經試)에 장원(壯元)하였으므로 명경이씨(明經李氏)라 칭(稱)하였는데 구보(舊譜)에는 입보(入譜)되지 아니하였다. 갑자수보시(甲子修譜時)에 그 파보(派譜)를 상고(詳考)하여 본 즉 시조공(始祖公) 5세손(五世孫) 휘 보(諱寶)는 곧 극송(克松)의 고조(高祖)이며 세계(世系)가 명백(明白)하므로 비로소 동보(同譜)하기로 하였다.
● 통정대부(通政大夫)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 이희조(李希祖)는 그 후손(後孫)의 가승(家乘)을 살펴보니 휘 희경(諱希慶)의 아우가 되는데 가화(家禍)를 만나던 날에 화(禍)가 그 몸에 미칠 것을 두려워하여 본관(本貫)을 바꾸어서 고양(高陽)에 은거(隱居)하였는데 자손(子孫)이 한미(寒微)하여 구보(舊譜)에 입보(入譜)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선계(先系)가 명확(明確)하므로 신축수보시(辛丑修譜時)에 비로소 동보(同譜)하기로 하였다.
● 문하시랑(門下侍郞) 이당개(李唐蓋)는 금릉백(金陵伯)이 되었으므로 금릉이씨(金陵李氏)라 칭(稱)하였다. 그 파보(派譜)를 살펴본 즉 휘 당규(諱唐揆)의 아우가 되나 자손(子孫)들의 사는 곳이 너무 멀어서 구보(舊譜)에 입보(入譜)되지 못하였으나 선계(先系)가 명확(明確)하므로 신축수보시(辛丑修譜時)에 비로소 동보(同譜)하기로 하였다.
● 여은정(麗隱亭) 휘 사지(諱思之)의 증손(曾孫)인 성산군(星山君) 식(軾)의 아들 예문(禮門)은 조요(早夭)하고 사자(嗣子)가 없었으므로 옛 경인수보(庚寅修譜)때부터 그 동생 윤(輪)의 아들 덕창(德昌)이 양자(養子)로 들어가서 종통(宗統)을 이어 지금(只今)까지 봉사(奉祀)하고 있다. 근래(近來)에 살펴보니 사과(司果) 만성(晩性)과 좌윤(左尹) 사흥(嗣興)은 본디 덕문(德門)의 후손(後孫)이었는데 세월(歲月)이 오래이고 우거(寓居)한 곳이 너무나 멀어서 아직 구보(舊譜)에 입보(入譜)되지 아니하였다. 신축년(辛丑年)에 이르러 비로소 수보(修譜)하게 되는 날에 선계(先系)를 상고(詳考)하지 아니하고 가벼이 예문(禮門)의 후(后)로 입록(入錄)하였으므로 이번 병자보(丙子譜)에 정정(訂正)하여 고쳐 쓴다.